콘텐츠 비즈니스론

ebook

By 기시카와 젠코

cover image of 콘텐츠 비즈니스론

Sign up to save your library

With an OverDrive account, you can save your favorite libraries for at-a-glance information about availability. Find out more about OverDrive accounts.

   Not today
Libby_app_icon.svg

Find this title in Libby, the library reading app by OverDrive.

app-store-button-en.svg play-store-badge-en.svg
LibbyDevices.png

Search for a digital library with this title

Title found at these libraries:

Loading...

산업사회에서 세계 경제를 리드했던 일본은 콘텐츠 비즈니스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 책은 그에 대한 답이다. 300권의 선행 문헌과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콘텐츠 비즈니스의 개념과 생성 발전 체계 국제 비교 사례 연구까지 콘텐츠 비즈니스를 둘러싼 이론과 실천에 포괄적으로 접근한다. 일본의 문자 매체 음악·음성 매체 영화 매체 게임 등 콘텐츠 산업 현황과 일본의 눈으로 바라 본 한국의 콘텐츠 산업의 현주소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학생과 실무자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책이다. 『콘텐츠 비즈니스론』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콘텐츠 비즈니스의 정의 정보와 정보재 정보의 경제적 특성 콘텐츠 비즈니스의 특징 등 콘텐츠 비즈니스의 개념을 다룬다. 2장은 콘텐츠의 역사 및 콘텐츠 비즈니스와 문화의 역사 콘텐츠 산업의 역사 등 콘텐츠 비즈니스와 사회·문화적 관계에 대해서 시계열적인 역사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3장은 문자매체 산업과 음악·음성매체 산업 영상 매체 산업 등 장르별 콘텐츠 산업의 특징과 역사 현황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 4장에서는 지적재산권의 문화·경제적 측면의 특징과 문제점 지적재산권을 통한 콘텐츠 비즈니스의 공존과 경쟁의 상호 분할적인 관계 속에서의 시너지 창출 전략을 논한다. 5장은 한국과 일본 대만 중국 등 아시아 국가와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콘텐츠 산업 정책에 대해서 비교·검토한다. 6장은 콘텐츠 비즈니스 인재 및 교육 훈련 정부의 교육 원조 등 콘텐츠 비즈니스의 종사자와 커리어 개발 현황 콘텐츠 비즈니스에서 요구되는 인재상 등 창의 인재 양성과 지원 정책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7장은 콘텐츠 비즈니스의 자금 조달 회계 경영 품질·비용 관리 위기 관리 등 실제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무엇보다 중요한 재원 마련과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8장은 아날로그 콘텐츠와 디지털 콘텐츠의 차이점 및 인터넷 콘텐츠의 수익 구조 소비 동향과 광고 콘텐츠 마케팅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활용에 대해서 미디어 산업 논리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9장에서는 유비쿼터스 사회를 둘러싼 환경과 가상의 '장' 비즈니스 커뮤니티 광고 캐릭터와 유통 등 미디어 간 합종연횡을 통해 콘텐츠 비즈니스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타 업종과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서 논한다. 마지막으로 10장에서는 콘텐츠 산업의 구조적 과제와 콘텐츠 산업의 주역 콘텐츠 비즈니스의 편재 등 오늘날 콘텐츠 비즈니스에 중요한 테마를 선정하여 정리하고 있다.

콘텐츠 비즈니스론